제사상을 차릴 때 음식의 종류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제사상 배치입니다. 1열부터 5열까지 음식을 놓는 위치에 따라 그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제사상에 올리는 음식의 종류는 가문마다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음식의 종류는 달라도 음식끼리 제상사 배치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놓게 되어 있습니다. 제사상 배치 규칙을 이해한다면 더 이상 제사상 음식 놓는 위치를 검색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제사의 유래에 대해 이해 한다면 제사를 지내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 누구나 알기 쉽고 자세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제사지내는 이유와 유래(제사가 만들어진 이유)
우리나라 사람들은 제사를 당연히 지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면 전 세계 사람들 중 제사를 지내는 나라는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제사 지내는 이유와 유래에서 찾아볼 수 있습
hi.1dreamaker.com
제사상 배치(제사상 음식 놓는 위치)
차례상이나 제사상에 올리는 음식의 종류는 거의 비슷합니다. 추석에는 송편, 설날에는 떡국이 올라간다는 차이를 제외하면 거의 동일하게 음식을 준비하고 배치하게 됩니다.
제사상에 올라가는 음식의 종류에도 그 의미가 있습니다. 탕국은 하늘, 땅, 사람을 상징하며 대추, 밤, 감은 후손 중에 큰 인물이 나오기를 바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추석 차례상 음식 종류와 의미 정리(지역별 음식까지)
추석 차례상에 올라가는 수많은 음식을 분류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지역이나 가문마다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의 종류는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차례상에 올리는 거의 모든 종류의 음식 리스트를
hi.1dreamaker.com
제사상에 배치하면 안되는 음식
1. 귀신을 쫒는 복숭아
2. '치'로 끝나는 생선(꽁치, 갈치, 삼치 등)
3. 각종 향신료(고춧가루, 마늘, 간장 등)
예전에는 이 규칙을 엄격하게 따져 제사음식을 준비하였으나 요즘에는 평소 고인이 좋아했던 음식을 올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제사상 배치
- 1열 : 밥, 국, 설날은 떡국
- 2열 :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 등 전 종류
- 3열 : 육탕, 소탕, 어탕
- 4열 : 식혜화 삼색나물, 반찬류, 포
- 5열 : 대추, 밤, 배, 사과, 곶감 등
음식의 종류에 대해서는 위 포스팅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해를 위해 필요한 음식만 리스트 되어 있습니다.
제사상 배치의 의미
1. 제사상 1열 배치
밥상의 가장 기본인 밥과 국을 올리게 됩니다. '반서갱동'이라 하여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두는 데 살아있는 사람의 반대로 두는 것이 규칙입니다. 1열에는 술잔도 함께 올리게 됩니다.
2. 제사상 2열 배치
1열에 밥과 국이 올라갔으니 2~4열까지는 반찬을 올리게 됩니다. 2열에는 전 종류를 배치하게 되는데 '어동육서'의 규칙으로 어류는 동쪽, 육류는 서쪽에 두게 됩니다.
3. 제사상 3열 배치
탕 종류의 반찬을 올리게 되는 곳으로 육탕, 소탕, 어탕을 놓게 됩니다.
4. 제사상 4열 배치
'좌포우혜' 규칙으로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를 올리게 됩니다. '동 두서 미'로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입니다. 시금치, 고사리, 숙주나물 등을 같이 배치하게 됩니다.
5. 제사상 5열 배치
5열은 디저트 음식을 올리는 곳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홍동백서' 규칙에 따라 배치하게 되며 대추, 밤, 배, 곶감 등으로 순서로 놓으시면 됩니다.
제사상 1열부터 5열까지 배치에 담긴 의미를 알 보았습니다. 자세한 제사상 음식 배치위치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포스팅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제사상 (차례상) 차림 정석과 유래 그리고 변천사 쉽게 알아보기
매년 명절이나 제사가 있을 때면 음식을 놓을 위치를 두고 많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사진으로 찍어서 이런 고민을 해결하고 있는 분들도 있지만 지금 차리고 있는 제사상 혹은 차례상 차림이
hi.1dreamaker.com
1열부터 5열까지 제사의 순서와 맞추어 보면 조상님들을 부르는 것을 시작으로 술을 대접하고 식사를 하는 동안 기다리며 식사 후에 후식을 드시는 것으로 제사를 마치게 됩니다.
만약 제사 음식에 포함되어있지 않은 음식을 올리고 싶은 분들이 있다면 1열~5열의 의미에 맞는 위치에 음식을 올리시면 됩니다. 고인이 평소에 짬뽕을 좋아하셨다면 3열 탕 위에 올리시면 됩니다.
제사상을 차릴 때 음식의 종류와 엄격한 규칙도 중요하지만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마음도 중요합니다. 음식을 준비하는 사람이 즐거운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고 제사를 지내는 사람은 조상 섬기는 마음으로 제사를 지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제사 날짜 계산 방법과 지내는 시간(기제사 포함)
제사를 지낼 때 제사상 차림, 제사 지내는 순서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제사를 지내는 날짜와 시간입니다. 아무리 좋은 음식을 차리고 순서를 지켜 제사를 지냈다고 해도 날짜가 틀리게 되면
hi.1dreamaker.com
'전통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날 음식 종류 음식에 담긴 의미까지 모두 정리 (0) | 2023.01.01 |
---|---|
제사 지방 쓰는 이유와 지방에 담긴 의미 (0) | 2022.10.26 |
추석 차례 지내는 법 순서 자세하게 정리 (0) | 2022.09.09 |
추석 차례상 음식 종류와 의미 정리(지역별 음식까지) (0) | 2022.08.16 |
제사상 (차례상) 차림 정석과 유래 그리고 변천사 쉽게 알아보기 (0) | 2022.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