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차례 지내는 법 순서 자세하게 정리
본문 바로가기
전통문화

추석 차례 지내는 법 순서 자세하게 정리

by 한국의 전통 2022. 9. 9.

추석 차례는 간소하게 지내는 제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돌아가신 기일에 맞춰 지내는 제사와 달리 제사를 지내는 조상들을 한꺼번에 모시고 지내게 되며 올리는 음식도 달라지게 됩니다. 

 

추석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의 종류와 놓는 위치에 따라 의미가 있습니다. 

2022.08.16 - [전통문화] - 추석 차례상 음식 종류와 의미 정리(지역별 음식까지)

 

추석 차례상 음식 종류와 의미 정리(지역별 음식까지)

추석 차례상에 올라가는 수많은 음식을 분류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지역이나 가문마다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의 종류는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차례상에 올리는 거의 모든 종류의 음식 리스트를

hi.1dreamaker.com

 

 

추석 차례 지내는 법

추석 차례 지내는 법은 비교적 간소하게 지내게 됩니다. 집안에 따라서는 제사와 유사하게 지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집안의 전통에 따를 것이 좋습니다. 

집안마다 지역마다 차례상 차림과 방법이 왜 다른지 이해할수 있습니다. 

2022.08.14 - [전통문화] - 제사상 (차례상) 차림 정석과 유래 그리고 변천사 쉽게 알아보기

 

제사상 (차례상) 차림 정석과 유래 그리고 변천사 쉽게 알아보기

매년 명절이나 제사가 있을 때면 음식을 놓을 위치를 두고 많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사진으로 찍어서 이런 고민을 해결하고 있는 분들도 있지만 지금 차리고 있는 제사상 혹은 차례상 차림이

hi.1dreamaker.com

보편적으로 많이 지내는 추석 차례 지내는 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추석 차례 지내는 법(순서)

1. 강신(추석 차례 준비)

향을 피워 조상을 부르고 본격적으로 제사의 시작을 알리게 됩니다. 다음으로 술잔에 술을 따라 세 번에 나누어 옆에 준비해둔 그릇에 버리게 됩니다. 

 

2. 참신 (조상님께 인사)

모신 조상님들께 인사를 드린다는 의미로 참석한 모든 사람이 두번 절하게 됩니다. 

 

3. 헌주(조상님께 술 올리기)

앞에 준비된 잔에 술을 따라 제사상에 올리게 됩니다. 술잔을 올린 사람은 두 번 절하게 됩니다. 

 

4. 신사정저(조상님의 식사)

떡국이나 송편을 드실 수 있도록 수저를 놓아줍니다. 

 

5. 시립(조상님들의 식사)

조상님들이 편히 식사를 하실수 있도록 몇 분 동안 밖으로 나가 있거나 공손한 자세로 기다립니다.

 

6. 사신(차례 마무리)

수저를 거두고 밥 뚜껑을 닫게 됩니다. 모든 사람이 두 번 절하는 것으로 차례를 마치게 됩니다. 

 

7. 음복(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제사상위에 있던 음식을 나누 먹게 됩니다. 

추석 차례지는 법 주의 사항

  • 추석 차례는 아침에 지는 것이 원칙입니다.
  • 기재사를 지내는 모든 조상에게 지내게 됩니다..
  • 차례를 지낼때는 촛불을 켜지 않습니다. 
  • 차례에는 축문을 읽지 않는 사람들이 많이 있지만 축문을 읽는 집안도 있습니다.
  • 설에는 떡꾹을 올리고, 추석에는 송편을 올리게 됩니다. 
  • 차례를 지낼때 술잔은 1잔, 숭늉도 올리지 않습니다.

추석 차례상의 의미는 차를 올리는 예라는 의미로 중국에서는 실제로 차를 올렸다고 합니다. 

 

2022.08.13 - [전통문화] - 추석 인사말 문구 센스있는 메시지(직장상사 선배)

 

추석 인사말 문구 센스있는 메세지(직장상사 선배)

추석 명절이 다가오면 직장상사나 선배에게 추석 인사말을 보내야 하는데 어떻게 보내는 것이 좋을지 고민이 많아지게 됩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센스 있게 보낼 수 있는 추석 인사말 문구를 소

hi.1dreamaker.com

 

2022.06.19 - [전통문화] - 제사지내는 이유와 유래(제사가 만들어진 이유)

 

제사지내는 이유와 유래(제사가 만들어진 이유)

우리나라 사람들은 제사를 당연히 지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면 전 세계 사람들 중 제사를 지내는 나라는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제사 지내는 이유와 유래에서 찾아볼 수 있습

hi.1dreamaker.com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