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지방 쓰는 이유와 지방에 담긴 의미
본문 바로가기
전통문화

제사 지방 쓰는 이유와 지방에 담긴 의미

by 한국의 전통 2022. 10. 26.

제사를 준비할 때 절대 빠져서는 안 되는 것이 바로 지방입니다. 제사를 지낼 때 지방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은 알지만 왜 있어야 하는 것인지를 아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제사를 지낼 때 지방이 가지는 의미와 지방에 담긴 의미까지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지방쓰는방법

먼저 제사를 지내는 이유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쉽게 정리하였습니다. 

2022.06.19 - [전통문화] - 제사지내는 이유와 유래(제사가 만들어진 이유)

 

제사지내는 이유와 유래(제사가 만들어진 이유)

우리나라 사람들은 제사를 당연히 지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면 전 세계 사람들 중 제사를 지내는 나라는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제사 지내는 이유와 유래에서 찾아볼 수 있습

hi.1dreamaker.com

 

제사 지방 쓰는 이유

지방을 쓰는 이유가 정확히 알려진 것은 아니지만 정설처럼 되어 있는 이유로는 신주를 대신해서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죽은 사람의 이름과 날짜를 적은 위패를 만들어 사당에 모셔놓고 차례나 제사를 지냈습니다. 시대가 변하면서 사당을 짓고 신주를 모시는 것이 어려워지게 되면서 신주 대신 한지로 지방을 써서 제사를 지내고 재사가 끝나면 태우는 형식으로 일종의 일회용 신주를 만들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다른 가설로는 증손이 제사를 지낼수 없을 때 종가와 멀리 떨어진 둘째나 셋째가 제사를 지낼 때 위폐를 대신해 지방으로 제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지방을 쓸때 사용하는 종이는 한지 또는 백지이며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로 맞추는 것이 가장 보기 좋습니다. 요즘은 여러 장을 미리 프린트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하거나 한자보다는 한글로 지방을 적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지방에 담긴 의미

지방에 적는 내용은 나와의 관계 그리고 살아생전에 벼슬, 조상의 이름를 기록하게 되며 마지막에 들어가는 신위는 조상의 영혼을 모신다는 뜻으로 적게 됩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예문) 현고 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 

 

顯考의 의미 

"배우는 학생으로 인생을 살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신령이시여 자리에 임하소서"라는 뜻입니다. 

  • 현 : 나타날 현  앞에 나타나 주세요 라는뜻
  • 고 : 상고할 고 남자 조상을 뜻합니다. 
  • 비 : 어미 비 여자 조상을 뜻합니다. 

"현고"로 시작하면 남자 조상을 현비로 시작하면 여자 조상을 뜻합니다. 

  • 현 증조고 : 증조할아버지
  • 현 증조비 : 증조할머니
  • 현조고 : 할아버지
  • 현조비 : 할머니
  • 현고 : 아버지
  • 현비 : 어머니

學生의 의미

다음으로 들어가는 학생은 살아생전에 조상의 사회적 직위를 적는 곳입니다. 

학생 : 남자 조상

유인 : 여자 조상

예전에는 주로 벼슬을 적었지만 요즘은 모두 통일하여 남자는 학생, 여자는 유인이라고 적습니다. 

 

府君의 의미

제사를 모시는 조상의 이름을 적는 곳으로 남자 조상일 경우에는 부군이라고 통일합니다. 

  • 부군 : 남자 조상들을 통칭합니다.
  • 여자 조상의 경우 성씨를 넣으면 됩니다. 김해 김 씨, 전주 이 씨, 밀양 박 씨 등을 적으면 됩니다. 

 

神位의 의미

조상의 영혼을 모신다는 뜻입니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지방을 쓰게 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버지의 경우

현고 학생부군신위

 

어머니의 경우

현비유인 김해 김 씨 신위

 

지방에 담긴 의미를 이해했다면 이제 지방을 쓰는 것은 너무 쉬운 일일 것입니다. 

 

지방을 적을 때 주의 사항은 양쪽 조상님을 모두 모시는 경우가 있는데 남자 조상은 왼쪽에 여자 조상은 오른쪽에 지방을 배치하게 됩니다. 

 

그동안 몰랐던 지방에 담긴 의미를 알고 지방을 적으면 좀 더 정성이 들어가 조상님들이 좋아하실 것 같습니다. 제사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2.07.24 - [전통문화] - 제사 날짜 계산 방법과 지내는 시간(기제사 포함)

 

제사 날짜 계산 방법과 지내는 시간(기제사 포함)

제사를 지낼 때 제사상 차림, 제사 지내는 순서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제사를 지내는 날짜와 시간입니다. 아무리 좋은 음식을 차리고 순서를 지켜 제사를 지냈다고 해도 날짜가 틀리게 되면

hi.1dreamaker.com

 

2022.09.09 - [전통문화] - 추석 차례 지내는 법 순서 자세하게 정리

 

추석 차례 지내는 법 순서 자세하게 정리

추석 차례는 간소하게 지내는 제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돌아가신 기일에 맞춰 지내는 제사와 달리 제사를 지내는 조상들을 한꺼번에 모시고 지내게 되며 올리는 음식도 달라지게 됩니다.

hi.1dreamaker.com

 

2022.08.16 - [전통문화] - 추석 차례상 음식 종류와 의미 정리(지역별 음식까지)

 

추석 차례상 음식 종류와 의미 정리(지역별 음식까지)

추석 차례상에 올라가는 수많은 음식을 분류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지역이나 가문마다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의 종류는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차례상에 올리는 거의 모든 종류의 음식 리스트를

hi.1dreamaker.com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